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은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를 잇는 국가지원지방도이다. 1994년 국도 제49호선 신설 계획이 있었으나 재정 부족으로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되었으며, 이후 구간별 개통 및 확장 공사가 진행되었다. 주요 경유지로는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충청북도, 경상북도, 강원특별자치도가 있다. 광주광역시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 남구의 교통 - 효천역
효천역은 광주광역시 남구에 위치한 경전선 철도역으로, 1930년 보통역으로 개시하여 효천면에서 역명이 유래되었고, 경전선 이설 후 현재 위치로 이전, 화물 취급 중지 후 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며 남도해양관광열차가 정차한다. - 광주 남구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 무주군의 교통 -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7호선은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경기도 파주시까지 총 연장 405km에 걸쳐 6개 도를 연결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노선 변경에 따른 주민 불편과 일부 구간의 교통 혼잡 문제도 안고 있는 일반국도이다. - 무주군의 교통 - 구천동로
구천동로는 경상남도 거창군 고제면에서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까지 이어지는 도로로, 신풍령과 라제통문삼거리 등의 주요 지점을 지나며 국도 제30호선과 연결되고, 주변에 구천동 휴게소, 보건진료소, 우체국, 초등학교 등의 시설이 있다. - 해남군의 교통 -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13호선은 전라남도 완도군에서 충청남도 금산군까지 287.8km에 걸쳐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전라북도, 충청남도를 잇는 국도로, 1971년 지정 이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쳤으며 완도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이다. - 해남군의 교통 - 진도대교
전라남도 진도군과 육지를 연결하는 제2진도대교는 교통량 해소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며 개통 후 경제 활성화에 기여했으나 안전 및 환경 문제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 |
---|---|
도로 정보 | |
도로 종류 | 국가지원지방도 |
![]() | |
노선명 | 해남 ~ 원주선 |
노선 번호명 |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
총연장 | 479.0km |
기점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
주요 경유지 | 전라남도 해남군 전라남도 영암군 전라남도 무안군 전라남도 나주시 광주광역시 광산구 전라남도 장성군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전라남도 장성군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충청북도 영동군 경상북도 상주시 충청북도 괴산군 충청북도 음성군 충청북도 충주시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
종점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문막읍 |
주요 교차 도로 | 호남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국도 제2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2호선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27호선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30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지방도 제306호선 지방도 제404호선 지방도 제505호선 지방도 제508호선 지방도 제514호선 지방도 제516호선 지방도 제517호선 지방도 제525호선 지방도 제531호선 지방도 제599호선 지방도 제635호선 지방도 제708호선 지방도 제714호선 지방도 제715호선 지방도 제721호선 지방도 제727호선 지방도 제734호선 지방도 제745호선 지방도 제749호선 지방도 제792호선 지방도 제801호선 지방도 제806호선 지방도 제820호선 지방도 제821호선 지방도 제825호선 지방도 제901호선 지방도 제997호선 |
2. 역사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은 1994년 '해남 ~ 원주선'이라는 이름으로 국도 제49호선 신설이 계획되었던 도로가 시초이다. 당시 연장은 378km로 정해져 있었으나, 국가 재정 부족으로 국도로 승격되지 못하고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되었다.[2] 1996년 7월 19일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에서 강원도 원주시 구간을 잇는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으로 지정되었다.[2]
이후 1998년부터 2020년까지 구간별 개통 및 확장이 진행되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날짜 | 내용 |
---|---|
1998년 5월 21일 | 광주광역시 남구 승촌동 ~ 광산구 본덕동 3.605km 구간, 광주광역시 광산구 오산동 1.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01년 12월 28일 | 괴산군 문광면 광덕리 2.96km 구간, 괴산군 청천면 사기막리 ~ 지촌리 2.54km 구간 확·포장 개통 |
2003년 1월 3일 | 괴산군 청천면 지촌리 530m 구간 개통 |
2004년 10월 4일 | 상주시 모서면 삼포리 ~ 지산리 2.38km 구간 개통, 기존 2.09km 구간 폐지 |
2005년 1월 10일 | 광주광역시 남구 승촌동 ~ 전라남도 나주시 금천면 석전리 2.62km 구간 개통 |
2007년 3월 2일 | 경부고속도로 확장으로 영동군 황간면 소계리 793m 구간 이설 개통[3] |
2008년 1월 18일 | 진안군 성수면 외궁리 ~ 진안읍 연장리 9.8km 구간 개통[4] |
2008년 1월 25일 | 마령 ~ 진안간 도로 구 도로 구간 노선 지정 해제 |
2008년 12월 26일 | 충청북도 구간 도로구역 지정[5] |
2009년 1월 2일 | 임실군 신평면 원천리 ~ 대리 2.47km 구간 노선 변경[6] |
2009년 2월 6일 | 괴산군 청천면 송면리 ~ 운교리 구간 개통[7] |
2009년 6월 1일 | 광주광역시 남구 승촌동 ~ 광산구 오산동 22.1km 구간 자동차 전용도로 지정[8] |
2009년 12월 11일 | 충주시 앙성면 모점리 220m 구간 위험도로 구조 개선[9] |
2010년 1월 15일 | 중원산업단지 진입도로 개설[10] |
2010년 2월 5일 | 정읍시 산외면 평사리 ~ 화죽리 4.14km 구간 개통[11] |
2011년 7월 15일 |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 ~ 완주군 구이면 백여리 13.53km 구간 개통[12] |
2012년 7월 6일 | 음성군 소이면 금고리 ~ 비산리 3.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3] |
2012년 7월 11일 | 광주광역시 광산구 본덕동 ~ 지평동 8.9km 구간 개통 |
2012년 7월 27일 |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 ~ 완주군 구이면 백여리 13.53km 구간 노선 변경[14] |
2012년 12월 14일 | 순창군 복흥면 지선리 ~ 쌍치면 종곡리 10.64km 구간으로 노선 변경[15] |
2012년 12월 26일 | 상주시 화서면 신봉리 ~ 화북면 장암리 18.506km 구간 개통 |
2013년 2월 4일 | 광주광역시 광산구 지평동 ~ 사호동 7.6km 구간 개통[16] |
2013년 10월 4일 | 영암군 삼호읍 삼포리 3.8km 구간 임시 개통[17] |
2013년 11월 12일 | 진안군 정천면 월평리 ~ 상전면 월포리 3.4km 구간 개통[18] |
2014년 1월 10일 | 해남군 화원면 영호리 구지 교차로 ~ 영암군 삼호읍 삼포리 삼호 교차로 12km 구간 개통[19] |
2014년 3월 21일 |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신청리 ~ 노은면 문성리 6.24km 구간 개통 |
2014년 5월 30일 | 진안군 동향면 성산리 ~ 자산리 870m 구간, 진안군 동향면 대량리 ~ 자산리 210m 구간 개통[20] |
2016년 7월 13일 | 국도 제36호선 및 국도 제3호선과 중복되는 음성읍 경유 구간으로 노선 변경. 총 연장 464.3km에서 479km로 연장.[21] |
2017년 1월 20일 | 완주군 구이면 백여리 ~ 임실군 신덕면 신흥리 5.6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소금바위재(완주군 구이면 백여리 ~ 임실군 신덕면 삼길리) 7.1km 구간 폐지[22] |
2017년 12월 29일 | 나주시 동강면 진천리 동강 교차로 ~ 옥정리 몽송 교차로 3.96km 구간 부분 개통[23] |
2018년 1월 8일 | 나주시 동강면 옥정리 ~ 월양리 3.3km 구간 폐지[24] |
2018년 12월 28일 | 음성군 원남면 구안리 ~ 소이면 충도리 620m 구간, 음성군 소이면 금고리 ~ 비산리 2.1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음성군 원남면 구안리 430m 구간과 음성군 소이면 금고리 ~ 비산리 총 1.69km 구간 폐지[25] |
2019년 9월 11일 | 영산강대교(무안군 일로읍 복룡리 ~ 나주시 동강면 옥정리) 4km 구간 임시 개통[26] |
2020년 1월 9일 | 나주시 동강면 옥정리 몽송 교차로 ~ 무안군 삼향읍 남악리 남악 분기점 10.5km 구간 개통[27], 기존 나주시 동강면 옥정리 ~ 무안군 일로읍 청호리 22.4km 구간 폐지[28] |
2020년 9월 24일 | 장성군 북하면 중평리 3.5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500m 구간 폐지[29] |
2. 1. 1994년 국도 제49호선 신설 계획
1994년 '해남 ~ 원주선'이라는 이름으로 '''국도 제49호선''' 신설이 계획되었던 도로가 시초이며, 당시 연장은 378km로 정해져 있었다. 그러나 국가 재정 부족으로 국도로 승격되지 못하고 구상된 노선은 폐기되지 않은 채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되었다.[2]2. 2. 1996년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지정
1994년 '해남 ~ 원주선'이라는 이름으로 '''국도 제49호선'''을 신설하기로 계획했던 도로가 시초이며, 당시 연장은 378km로 정해져 있었다. 그러나 국가 재정 부족으로 국도로 승격되지 못했으며, 구상된 노선은 폐기되지 않고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되었다. 1996년 7월 19일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 강원도 원주시 구간을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 해남 ~ 원주선'''으로 지정하였다.[2]2. 3. 1998년 ~ 2020년 구간별 개통 및 확장
- 1998년 5월 21일 : 도로 개설 공사 시행을 위해 광주광역시 남구 승촌동 ~ 광산구 본덕동 3.605km 구간과 광주광역시 광산구 오산동 1.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01년 12월 28일 : 괴산군 문광면 광덕리 2.96km 구간과 괴산군 청천면 사기막리 ~ 지촌리 2.54km 구간 확·포장 개통
- 2003년 1월 3일 : 지촌 ~ 덕평간 도로(괴산군 청천면 지촌리) 530m 구간 개통
- 2004년 10월 4일 : 모서우회도로(상주시 모서면 삼포리 ~ 지산리) 2.38km 구간 개통, 기존 2.09km 구간 폐지
- 2005년 1월 10일 : 금천 ~ 시계간 도로(광주광역시 남구 승촌동 ~ 전라남도 나주시 금천면 석전리) 2.62km 구간 개통
- 2007년 3월 2일 : 경부고속도로 확장으로 영동군 황간면 소계리 793m 구간 이설 개통[3]
- 2008년 1월 18일 : 마령 ~ 진안간 도로(진안군 성수면 외궁리 ~ 진안읍 연장리) 9.8km 구간 개통[4]
- 2008년 1월 25일 : 마령 ~ 진안간 도로 구 도로 구간 노선 지정 해제
- 2008년 12월 26일 : 충청북도 구간 도로구역 지정[5]
- 2009년 1월 2일 : 임실군 신평면 원천리 ~ 대리 2.47km 구간 노선 변경[6]
- 2009년 2월 6일 : 괴산군 청천면 송면리 ~ 운교리 구간 개통[7]
- 2009년 6월 1일 : 지석대교 ~ 월산 교차로(광주광역시 남구 승촌동 ~ 광산구 오산동) 22.1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8]
- 2009년 12월 11일 : 충주시 앙성면 모점리 220m 구간 위험도로 구조 개선[9]
- 2010년 1월 15일 : 중원산업단지 진입도로 개설[10]
- 2010년 2월 5일 : 정읍 ~ 완주간 도로(정읍시 산외면 평사리 ~ 화죽리) 4.14km 구간 개통[11]
- 2011년 7월 15일 : 정읍 ~ 완주간 도로(정읍시 칠보면 시산리 ~ 완주군 구이면 백여리) 13.53km 구간 개통[12]
- 2012년 7월 6일 : 금고 ~ 비산간 도로 확포장공사에 의해 음성군 소이면 금고리 ~ 비산리 3.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3]
- 2012년 7월 11일 : 본덕 ~ 임곡간 도로 1공구(광주광역시 광산구 본덕동 ~ 지평동) 8.9km 구간 개통
- 2012년 7월 27일 :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 ~ 완주군 구이면 백여리 13.53km 구간 노선 변경[14]
- 2012년 12월 14일 : 순창군 복흥면 지선리 ~ 쌍치면 종곡리 10.64km 구간으로 노선 변경[15]
- 2012년 12월 26일 : 화서 ~ 화북간 도로(상주시 화서면 신봉리 ~ 화북면 장암리) 18.506km 구간 개통
- 2013년 2월 4일 : 본덕 ~ 임곡간 도로 2공구(광주광역시 광산구 지평동 ~ 사호동) 7.6km 구간 개통[16]
- 2013년 10월 4일 : 영암군 삼호읍 삼포리 3.8km 구간 임시 개통[17]
- 2013년 11월 12일 : 진안군 정천면 월평리 ~ 상전면 월포리 3.4km 구간 개통[18]
- 2014년 1월 10일 : 화원 ~ 삼포간 도로(해남군 화원면 영호리 구지 교차로 ~ 영암군 삼호읍 삼포리 삼호 교차로) 12km 구간 개통[19]
- 2014년 3월 21일 : 신니 ~ 노은간 도로(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신청리 ~ 노은면 문성리) 6.24km 구간 개통
- 2014년 5월 30일 : 진안군 동향면 성산리 ~ 자산리 870m 구간, 진안군 동향면 대량리 ~ 자산리 210m 구간 개통[20]
- 2016년 7월 13일 : 기존 음성군 소이면 ~ 충주시 신니면 구간을 노선 지정에서 해제하고 국도 제36호선 및 국도 제3호선과 중복되는 음성읍을 경유하는 구간으로 노선 변경. 이에 따라 총 연장이 464.3km에서 479km로 연장.[21]
- 2017년 1월 20일 : 계곡 ~ 신덕간 도로(완주군 구이면 백여리 ~ 임실군 신덕면 신흥리) 5.6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소금바위재(완주군 구이면 백여리 ~ 임실군 신덕면 삼길리) 7.1km 구간 폐지[22]
- 2017년 12월 29일 : 몽탄 ~ 동강간 도로(나주시 동강면 진천리 동강 교차로 ~ 옥정리 몽송 교차로) 3.96km 구간 부분 개통[23]
- 2018년 1월 8일 : 몽탄 ~ 동강간 도로 개통에 따라 기존 나주시 동강면 옥정리 ~ 월양리 3.3km 구간 폐지[24]
- 2018년 12월 28일 : 음성군 원남면 구안리 ~ 소이면 충도리 620m 구간과 금고 ~ 비산간 도로(음성군 소이면 금고리 ~ 비산리) 2.1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음성군 원남면 구안리 430m 구간과 음성군 소이면 금고리 ~ 비산리 총 1.69km 구간 폐지[25]
- 2019년 9월 11일 : 추석 연휴 기간인 9월 16일까지 영산강대교(무안군 일로읍 복룡리 ~ 나주시 동강면 옥정리) 4km 구간 임시 개통[26]
- 2020년 1월 9일 : 일로 ~ 몽탄간 도로(나주시 동강면 옥정리 몽송 교차로 ~ 무안군 삼향읍 남악리 남악 분기점) 10.5km 구간 개통[27], 기존 나주시 동강면 옥정리 ~ 무안군 일로읍 청호리 22.4km 구간 폐지[28]
- 2020년 9월 24일 : 북하 ~ 도계간 도로(장성군 북하면 중평리) 3.5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500m 구간 폐지[29]
3. 주요 경유지
wikitext
도 | 시·군 | 읍·면·동 |
---|---|---|
전라남도 | 해남군 | 화원면, 산이면 |
영암군 | 삼호읍 | |
학산면 | ||
미암면 | ||
전라남도 | 무안군 | 일로읍, 몽탄면 |
전라남도 | 나주시 | 동강면, 공산면, 왕곡면, 동수동, 대기동, 부덕동, 평산동, 관정동, 금천면 |
광주광역시 | 남구 | 승촌동, 양촌동 |
광산구 | 용봉동, 본덕동, 하산동, 요기동, 연산동, 용곡동, 지정동, 지평동, 송산동, 남산동, 송치동, 산수동, 선동, 임곡동, 사호동, 광산동, 오산동 | |
전라남도 | 장성군 | 동화면, 황룡면, 서삼면, 북일면, 북이면, 북하면 |
전북특별자치도 | 고창군 | 고창읍 |
순창군 | 복흥면 | |
정읍시 | 내장동, 쌍암동, 부전동, 칠보면, 산외면 | |
완주군 | 구이면 | |
임실군 | 신덕면, 신평면, 관촌면 | |
진안군 | 성수면, 마령면, 진안읍, 부귀면, 정천면, 상전면, 동향면 | |
전북특별자치도 | 무주군 | 안성면, 적상면, 설천면 |
충청북도 | 영동군 | 용화면, 상촌면, 매곡면, 황간면 |
경상북도 | 상주시 | 모동면, 모서면, 화동면, 화남면, 화서면, 화북면 |
충청북도 | 괴산군 | 청천면, 문광면, 괴산읍, 소수면 |
음성군 | 원남면, 소이면, 음성읍 | |
충주시 | 신니면, 노은면, 앙성면 | |
강원특별자치도 | 원주시 | 부론면, 문막읍, 지정면, 흥업면, 호저면, 우산동 |
3. 1.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이남)
해남군(화원면, 산이면) - 영암군(삼호읍, 학산면, 미암면) - 무안군(일로읍, 몽탄면) - 나주시(동강면, 공산면, 왕곡면, 동수동, 대기동, 부덕동, 평산동, 관정동, 금천면) - 장성군(동화면, 황룡면, 서삼면, 북일면, 북이면, 북하면)3. 2.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 남구 (승촌동 - 양촌동) - 광산구 (용봉동 - 본덕동 - 하산동 - 요기동 - 연산동 - 용곡동 - 지정동 - 지평동 - 송산동 - 남산동 - 송치동 - 산수동 - 선동 - 임곡동 - 사호동 - 광산동 - 오산동)3. 3.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이북),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해남군 (화원면 - 산이면) - 영암군 (삼호읍 - 학산면 - 삼호읍 - 미암면 - 삼호읍 - 학산면) - 무안군 (일로읍 - 몽탄면) - 나주시 (동강면 - 공산면 - 왕곡면 - 동수동 - 왕곡면 - 대기동 - 부덕동 - 평산동 - 관정동 - 평산동 - 금천면) - 광주광역시 남구 (승촌동 - 양촌동) - 광산구 (용봉동 - 본덕동 - 하산동 - 요기동 - 연산동 - 용곡동 - 지정동 - 지평동 - 송산동 - 남산동 - 송치동 - 산수동 - 선동 - 임곡동 - 사호동 - 광산동 - 오산동) - 장성군 (동화면 - 황룡면 - 서삼면 - 북일면)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3. 4.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 - 순창군 복흥면 - 정읍시 (내장동 - 쌍암동 - 부전동 - 칠보면 - 산외면) - 완주군 구이면 - 임실군 (신덕면 - 신평면 - 관촌면) - 진안군 (성수면 - 마령면 - 진안읍 - 부귀면 - 정천면 - 상전면 - 동향면) - 무주군 (안성면 - 적상면 - 설천면)3. 5. 충청북도 (경상북도 상주시 이남)
충청북도 구간은 영동군에서 시작하여 괴산군, 음성군을 거쳐 충주시까지 이어진다.경상북도 상주시 이남 구간은 다음과 같다.
3. 6.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 모서면 - 화동면 - 화남면 - 화서면 - 화북면)3. 7. 충청북도 (경상북도 상주시 이북)
괴산군 (청천면, 문광면, 괴산읍, 소수면) - 음성군 (원남면, 소이면, 음성읍) - 충주시 (신니면, 노은면, 앙성면)3. 8. 강원특별자치도
4. 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은 해남군 화원면 구지 교차로에서 국도 제77호선 (관광로)과 분기하면서 시작하여 영암군 삼호읍 호등 교차로까지 이어진다.
해남군 구간에서는 구지 교차로에서 시작하여 영호2교, 별암 교차로, 금호방조제, 금호갑문을 지난다.
영암군 구간에서는 금호1 교차로, 금호2 교차로, 달도갑문, 달도 교차로(지방도 제806호선 분기), 산이교, 광장 교차로, 영암방조제를 거친다. 삼호읍에서는 산단 교차로, 삼포대교, 영암1교, 영암 교차로, 삼포2~5교, 삼포 교차로(지방도 제806호선 중복), 난대 교차로, 대불 교차로, 용앙 교차로(지방도 제806호선 분기), 저두 교차로, 용두 교차로, 호등 교차로(녹색로와 교차)를 지난다. 호등 교차로 이후 구간은 계획 중이나 미개통 상태이다.
4. 1.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이남)
전라남도 구간은 해남군 화원면 구지 교차로에서 시작하여 국도 제77호선과 분기한다. 산이면에서는 금호방조제와 달도갑문을 지난다. 영암군 삼호읍에서는 영암방조제를 건너고, 지방도 제806호선과 일부 구간이 중복된다. 대불 교차로, 용앙 교차로, 저두 교차로를 거쳐 호등 교차로에서 녹색로와 교차한다.이후 구간은 계획 중이나 미개통 상태이다. 무안군 일로읍 청호 교차로에서 국도 제2호선과 만나고, 남악 분기점에서 다시 분기한다. 남창 교차로, 소지 교차로를 지나 청룡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820호선과 교차한다. 몽탄면에서는 영산강대교를 건너고, 나주시 동강면 몽송 교차로에서 동강로와 교차한다. 동강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23호선과 중복된다. 왕곡면에서는 왕곡 교차로(국도 제13호선과 교차), 부덕 교차로(국도 제23호선과 분기)를 지난다. 금천면에서는 금천 교차로에서 국도 제1호선과 중복된다.
광주광역시 남구 구간은 지석대교에서 시작된다. 광산구에서는 본덕 나들목(국도 제13호선과 교차), 지평 나들목(국도 제22호선과 교차), 남광산 나들목(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와 교차), 본량 교차로, 오산 교차로, 월산 나들목을 지난다.
4. 2. 광주광역시
이름[30]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지석대교 | 광주광역시 | 남구 | ||
(이름 없음) | 포충로 |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 ||
승용교 | ||||
광산구 | ||||
본덕 나들목 | 국도 제13호선 (건재로) | |||
요기교 | ||||
연산 나들목 | 연산로 | |||
평동1교 평동2교 평동3교 평동4교 | ||||
지평 나들목 | 국도 제22호선 (어등대로) | |||
운평교 평림교 죽산1교 죽산2교 황계교 입석교 | ||||
남광산 나들목 | 500호선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 | |||
본량 교차로 | 용진로 | |||
선동교 | ||||
용진터널 | 연장 1,046m | |||
사호교 봉흥3교 상촌2교 | ||||
오산 교차로 | 지방도 제734호선 (임곡상촌로) | 지방도 제734호선과 중복 | ||
월산 나들목 | 지방도 제734호선 (영장로) |
4. 3.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이북),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이름[30]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지석대교 | 광주광역시 | 남구 | ||
(이름 없음) | 포충로 |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 ||
승용교 | ||||
광산구 | ||||
본덕 나들목 | 국도 제13호선 (건재로) | |||
요기교 | ||||
연산 나들목 | 연산로 | |||
평동1교 평동2교 평동3교 평동4교 | ||||
지평 나들목 | 국도 제22호선 (어등대로) | |||
운평교 평림교 죽산1교 죽산2교 황계교 입석교 | ||||
남광산 나들목 | 500호선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 | |||
본량 교차로 | 용진로 | |||
선동교 | ||||
용진터널 | 연장 1,046m | |||
사호교 봉흥3교 상촌2교 | ||||
오산 교차로 | 지방도 제734호선 (임곡상촌로) | 지방도 제734호선과 중복 | ||
월산 나들목 | 지방도 제734호선 (영장로) | |||
4. 4. 전북특별자치도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은 전북특별자치도를 지나지 않는다.[30]4. 5. 충청북도 (경상북도 상주시 이남)
충청북도한국어 구간은 2017년 12월 29일에 전 구간 개통되었다.[30]이름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지석대교 | 광주광역시 | 남구 | ||
(이름 없음) | 포충로 |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 ||
승용교 | ||||
광산구 | ||||
본덕 나들목 | 국도 제13호선 (건재로) | |||
요기교 | ||||
연산 나들목 | 연산로 | |||
평동1교 평동2교 평동3교 평동4교 | ||||
지평 나들목 | 국도 제22호선 (어등대로) | |||
운평교 평림교 죽산1교 죽산2교 황계교 입석교 | ||||
남광산 나들목 | 500호선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 | |||
본량 교차로 | 용진로 | |||
선동교 | ||||
용진터널 | 연장 1,046m | |||
사호교 봉흥3교 상촌2교 | ||||
오산 교차로 | 지방도 제734호선 (임곡상촌로) | 지방도 제734호선과 중복 | ||
월산 나들목 | 지방도 제734호선 (영장로) | |||
이름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남한강대교 | 원주시 | 부론면 | ||
(법천리) | 지방도 제531호선 (부귀로) | |||
원주금융회계고등학교 부론중학교 | ||||
(부론주유소) | 법천시장길 | |||
(흥호1리) | 섬강로 | |||
(이름 없음) |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 미개통 | ||
노림초등학교(폐교) 노림교 | ||||
모산고개 | ||||
문막읍 | ||||
경동대학교 문막메디칼캠퍼스 | 법후로 | |||
궁촌교 | ||||
(궁촌교 북단) | 지방도 제404호선 (귀문로) | |||
(문막교 동단) | 원문로 | |||
(이름 없음) | 건등로 | |||
원주의료고등학교 | ||||
문막 나들목 | 50호선 영동고속도로 | |||
관천교 | ||||
건등사거리 (문막고속시외버스정류소) | 국도 제42호선 (여원로) (원문로) 왕건로 | 종점 | ||
4. 6.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재에서 모서면 삼포교 남단을 거쳐 가막리까지 구간은 중화로이다.[30]상주시 모서면 삼포교 남단에서 가막리까지 구간은 삼포순환로이다.[30]
상주시 모서면 가막리에서 화서면 신봉네거리까지 구간은 중화로이다.[30]
상주시 화서면 신봉네거리에서 수청거리삼거리까지 구간은 영남제일로이다.[30]
상주시 화서면 수청거리삼거리에서 하송2교까지 구간은 상곡로이다.[30]
상주시 화서면 하송2교에서 화북면 입석리까지 구간은 문장로이다.[30]
4. 7. 충청북도 (경상북도 상주시 이북)
이 구간은 전라남도 나주시에서 광주광역시로 이어지는 구간으로, 대부분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23호선 등과 중복된다.구간 | 주요 교차로 및 시설 | 비고 |
---|---|---|
나주시 동강면 ~ 왕곡면 | 영산강대교, 몽송 교차로, 대전 교차로, 월양터널, 월양 교차로, 오습교, 동강 교차로, 진천교, 성남천교 | 국도 제23호선 중복 |
나주시 공산면 ~ 왕곡면 | 동촌 교차로, 이동 교차로, 공산 교차로, 공산교, 금곡 교차로, 복사초리삼거리, 신포 교차로, 박포 교차로, 화정1교, 화정2교, 화정 교차로, 덕산 교차로, 혁신산단왕곡교차로 | 국도 제23호선 중복 |
나주시 이창동 ~ 금천면 | 동수 교차로, 장산1교, 왕곡 교차로, 구산교, 만봉천교, 부덕 교차로, 부덕교, 봉황천교, 방축교, 월산교, 동악교, 신천 교차로, 석전 교차로, 금천 교차로, 지석대교 | 국도 제1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중복, 국도 제23호선 일부 중복 |
광주광역시 남구 ~ 광산구 | 승용교, 본덕 나들목, 요기교, 연산 나들목, 평동1교, 평동2교, 평동3교, 평동4교, 지평 나들목, 운평교, 평림교, 죽산1교, 죽산2교, 황계교, 입석교, 남광산 나들목, 본량 교차로, 선동교, 용진터널, 사호교, 봉흥3교, 상촌2교, 오산 교차로, 월산 나들목 | 국도 제13호선 중복, 자동차 전용도로[30] |
이전 구간 (2020년 이전):몽송 교차로 - 명산삼거리 - 파군교 - 일로읍 신기리 삼거리 - 일로읍 용산리 교차로 - 일로읍 행정복지센터 앞 교차로 - 전남체육고등학교, 전남체육중학교 - 일로읍 의산리 교차로 - 도장포삼거리
4. 8. 강원특별자치도
(출력 없음)5. 자동차 전용도로
제공된 소스 자료에는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의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에 대한 정보가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뉴스
음성읍~신니IC 국지도 승격 최종 확정
http://www.inews365.[...]
충북일보
2016-07-13
[2]
간행물
대통령령 제15124호 국가지원지방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19
[3]
간행물
충청북도공고 제2007-137호
http://cblib.cb21.ne[...]
2007-03-02
[4]
간행물
전라북도 공고 제2008-28호
http://www.jeonbuk.g[...]
2008-01-18
[5]
간행물
충청북도고시 제2008-293호
http://cblib.cb21.ne[...]
2008-12-26
[6]
간행물
전라북도 공고 제2009-2호
http://www.jeonbuk.g[...]
2009-01-02
[7]
간행물
충청북도공고 제2009-66호
http://cblib.cb21.ne[...]
2009-02-06
[8]
간행물
광주광역시공고 제2009-325호
http://211.252.37.54[...]
2009-06-01
[9]
간행물
충청북도공고 제2009-852호
http://cblib.cb21.ne[...]
2009-12-11
[10]
간행물
충청북도공고 제2009-923호
http://cblib.cb21.ne[...]
2010-01-15
[11]
간행물
전라북도 공고 제2010-111호
http://www.jeonbuk.g[...]
2010-02-05
[12]
간행물
전라북도 공고 제2011-763호
http://www.jeonbuk.g[...]
2011-07-15
[13]
간행물
충청북도고시 제2012-153호
http://cblib.cb21.ne[...]
2012-07-06
[14]
간행물
전라북도 공고 제2012-717호
http://www.jeonbuk.g[...]
2012-07-27
[15]
간행물
전라북도 공고 제2012-1105호
http://www.jeonbuk.g[...]
2012-12-14
[16]
간행물
광주광역시공고 제2013-80호
http://211.252.37.54[...]
2013-01-30
[17]
간행물
전라남도 공고 제2013-842호
http://www.jeonnam.g[...]
2013-09-23
[18]
간행물
전라북도 공고 제2013-1048호
http://www.jeonbuk.g[...]
2013-11-01
[19]
간행물
전라남도 공고 제2014-25호
http://www.jeonnam.g[...]
2014-01-09
[20]
간행물
전라북도 공고 제2014-602호
http://www.jeonbuk.g[...]
2014-05-30
[21]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453호
http://gwanbo.mois.g[...]
2016-07-13
[22]
간행물
전라북도공고 제2017-96호
http://www.jeonbuk.g[...]
2017-01-20
[23]
간행물
전라남도공고 제2017-1037호
http://www.jeonnam.g[...]
2017-12-28
[24]
간행물
전라남도공고 제2018-31호
http://www.jeonnam.g[...]
2018-01-11
[25]
간행물
충청북도공고 제2018-1842호
http://www.chungbuk.[...]
2018-12-28
[26]
간행물
전라남도공고 제2019-882호
https://www.jeonnam.[...]
2019-09-05
[27]
간행물
전라남도공고 제2019-1227호
https://www.jeonnam.[...]
2020-01-02
[28]
간행물
전라남도공고 제2020-196호
https://www.jeonnam.[...]
2020-02-20
[29]
간행물
전라남도공고 제2020-957호
https://www.jeonnam.[...]
2020-09-24
[30]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